본문 바로가기
프론트엔드

웹 개발을 배우기 전에 알면 좋은 용어!

by 김씨 학생 2024. 1. 12.
웹 용어


서버와 클라이언트

서버 요청받은 서비스를 응답해 주는 대상
클라이언트 서버에게 요청하는 대상

 

 

웹 (Web)

웹 (Web) 요청과 응답이 일어나는 장
웹 브라우저
(Web Browser)
사용자의 요청에 맞는 주소로 찾아가서 인터넷 콘텐츠(문서와 그림, 파일 등)를 검색 및 열람 후 사용자에게 응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총칭.

 

 

프로토콜 (Protocol)

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반드시 응답해야 한다는 약속.

 

예시)

  1. http://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  2. https:// (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Socket)

 

 

IP (Internet Protocol)

클라이언트가 찾아갈 서버의 고유한 값, 컴퓨터가 컴퓨터를 찾을 때 쓰는 고유한 값.
이를 통해 서로를 구분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와 구별될 수 있는 고유 번호.

 

 

도메인 (Domain)

IP 주소는 기억하고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에, 이를 위해서 이름을 붙일 수 있도록 한 것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웹 개발에 사용하는 언어

 

 

웹 표준 (Web Standard)

  • HTML (Hypertext markup Language)
웹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마크업 언어.
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기술하는 언어이다.

 

 

 

  • CSS (Cascading Style Sheets)
구체적으로 어떤 스타일로 요소가 표시되는 지를 정하는 규격.
HTML에 작성된 스타일로 따로 분리해서 일괄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.

 

 

 

  • JS (Javascript)
화면 쪽에서 '연산'이 가능한 스크립트 언어이다.
사용자의 다양한 이벤트 처리, 비동기 통신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.
HTML 안에서도 태그 형태로 JS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, 외부 파일로 제작 후
포함 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. 유효성 검사, 통신 등을 담당한다.

 

 

 

  • XHTML (Extensible HTML)
기존에 사용되던 HTML 규격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다양한 분야에
응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여러가지 확장된 기능을 포함한다.
HTML과 XHTML은 사실상 큰 차이 없이 사용된다.

 

 

 

  • XML (Extensible Markup Language)
어떠한 데이터를 살명하기 위해서 임의로 지은 태그로 데이터를 감싼다.
태그로 데이터를 설명하며, 이것이 데이터의 표시(Markup)가 되고 추가적인
데이터가 생기면 태그 추가외 태그 내부 내용 추가를 할 수 있다.
따라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.

 

예시)

<?xml version="1.0">
<user>
	<user-id>개발자가 되고 싶은 학생</user-id>
    	<name>김씨 학생</name>
</user>

'프론트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ML 이미지 태그  (0) 2024.01.17
HTML 링크 태그  (0) 2024.01.17
HTML 리스트  (0) 2024.01.17
HTML 속성  (0) 2024.01.17
HTML 기본 형태 및 서식 태그  (0) 2024.01.12